약과 술, 함께하면 왜 위험할까?

 

감기약 한 알에 술 한 잔, 괜찮겠지 하고 넘기기 쉽지만 약과 술을 함께 먹는 건 생각보다 위험해요. 알코올은 약의 흡수와 분해를 방해하고, 부작용을 크게 키울 수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서울우유와 함께 약과 술을 함께 먹었을 때 왜 위험한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D

 

picture of doctor hands giving white pills and glass of water

 

약 먹고 술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한 번쯤 오후에 약을 먹고 나서 저녁에 술 약속이 있을 때, 술을 마셔도 되나 고민할 때가 있을 거예요. 왠지 술을 마시면 안 될 것 같아도, 그 이유를 정확하게 알진 못하는데요. 그렇다면 왜 약과 술은 함께 마시면 안 되는 걸까요?

 

그 이유는 술은 약물의 작용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약을 복용하고 술을 마시면 체내에서 약물이 대사되는 과정에 알코올이 개입하게 돼요. 간은 약과 술을 모두 분해하는 기관인데, 동시에 처리해야 할 때 과부하가 걸리면서 약효가 달라지거나 독성 물질이 쌓이거나 알코올이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등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간에서 약물과 알코올을 함께 처리하면 효소 활동이 변하면서 간이 손상될 수 있는데, 심각한 경우 간 독성이 높아지고 간염, 간부전이 발생할 수 있어요. 또한, 위 점막을 자극해 위염, 속 쓰림과 같은 소화기 문제도 생기며, 수면제, 안정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술을 마시면 신경계가 과도하게 억제되어 졸음, 어지러움, 심하면 의식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CK_tis034b14010083

 

술과 함께 먹으면 위험한 약 종류

 

특히 아래에 소개하는 약들은 술과 함께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심하거나 위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약물들입니다. 이외의 약이라고 해서 안전한 것은 아니므로, 모든 약은 음주 전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진통제

 

생리통 약을 포함한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나프록센 등이 주성분인 진통제는 술과 함께 복용할 경우 간에 무리를 줘서 간 손상 위험이 높아지고, 위 출혈, 속 쓰림, 구토 증상이 보일 수 있어요.

 

항히스타민제

 

비염약, 감기약처럼 클로르페니라민, 세티리진, 로라타딘과 같은 항히스타민제 성분은 술과 함께 먹으면 졸음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반응 속도도 둔해져 특히, 운전할 경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아요. 따라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한 경우엔 최소 12시간 이상 음주는 피하고, 가능한 한 하루는 금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항생제

 

메트로니다졸, 세팔렉신, 아목시실린 등이 있는 일부 항생제는 술과 만나면 알코올과 반응해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요. 특히 메트로니다졸을 복용하고 술은 절대 금물! 복용하고 나서 짧게는 36시간 이후, 길게는 2주까지 금주하길 권장합니다.

 

항우울제

 

항우울제, 항불안제, 수면제, 진통제로 쓰이는 오피오이드 계열 약물은 모두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입니다. 따라서 알코올을 함께 복용할 시, 호흡 억제, 의식 저하, 혼수 등 신경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절대 함께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CK_pc0031069568

 

약 복용 후 술은 언제부터 마셔도 될까?

 

기저질환, 약물 종류와 용량, 개인 대사 능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약의 반감기를 고려해 최소 8~12시간 간격을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하지만 항결핵제, 항원충제, 중추신경 억제제 등 술 복용이 금기시되는 약물들은 최대 2주까지 금주하는 것이 좋아요. 하지만 소개한 약 외에도 약물마다 술과의 상호작용은 다를 수 있으니 복용 중인 약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 후 음주 여부를 결정하세요.

 

약 먹고 술뿐만 아니라 커피, 우유는 괜찮을까요? 진통제, 감기약에는 이미 카페인이 들어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커피를 마실 경우, 불면, 심장 두근거림, 불안감이 심해질 수 있어서 물 외에 음료는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 역시 칼슘이 많아 철분제나 항생제의 흡수를 방해하는데요. 우유 속 단백질이 일부 약물 성분을 감싸서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약 복용 후 2시간 뒤에 마시는 게 좋습니다.

 

또한, 약 먹고 바로 눕는 것도 좋지 않아요. 약은 식도를 지나 위로 내려가야 제대로 흡수됩니다. 그런데 약을 먹고 곧바로 누우면,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어요. 따라서 약을 먹은 뒤에는 최소 30분 이상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을 추천합니다.

 

 

약과 술을 함께 먹으면 약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간이나 위 같은 장기에 심각한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서 약 복용 중엔 반드시 반드시 금주해 주세요! :D

 

덧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