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feat. 시내버스)

차를 타면 안전벨트를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건 당연지사! 그런데 여러 대중교통을 타다 보면 기차와 시내버스에 안전벨트가 없는걸 볼 수 있는데요. 차에 타면 안전벨트를 꼭 착용해야 한다는 기본 상식과 어긋나는 상황들! 왜 기차와 시내버스엔 안전벨트가 없는 걸까요?

 

tica034j16090562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기차, 특히 KTX의 경우엔 최대 시속이 무려 300km/h인 만큼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리는데 왜 안전벨트가 없는 걸까요?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기차의 무게 때문이에요. KTX는 무게가 400t이 넘고, 다른 기차 역시 수백 톤에 달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웬만한 물체와 부딪쳐도 그 충격은 기차와 부딪힌 쪽에 가해져서 열차 내 승객에게까지 전달되지는 않는다고 해요.

또한 제동거리가 길다는 것도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중 하나에요. 기차의 제동거리는 최대 3km가 넘습니다. 열차가 급제동해도 1분 정도가 지나야 선다는 이야기죠. 이렇듯 가감 속도가 느려서 승객들이 충분히 자기 몸을 통제할 수 있고, 앞으로 튕겨져 나올 가능성도 적기 때문에 굳이 안전벨트가 필요 없답니다.

마지막 이유로는 만에 하나 열차 사고가 났을 때, 승객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아야 기차 탈출이 더 빠르기 때문입니다. 열차 사고는 탈선으로 인해 승객이 튕겨 나가는 것보다 대부분 열차가 넘어지거나 뒤집혀 차체가 찌그러지면서 승객의 몸이 좌석에 깔리는 경우가 많아요. 이때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으면 대피와 구조작업을 지연 시켜 탈출하기가 어렵습니다. 실제로 2007년, 영국에서 실시한 열차 모형 시험 결과에서 열차에서 사고가 났을 때 2점식 안전벨트(배를 지나가는 벨트 형식)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부상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해요. 안전벨트 설치보다 열차 내 충격 완화 설비, 비상 탈출을 위한 구조 개선이 더 필요하다는 뜻이죠.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이해가 됐나요?

 

cm28009660

시내버스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그렇다면 제동거리도 짧고, 무게도 기차만큼 무겁지 않은 시내버스에는 왜 안전벨트가 없을까요? 비슷한 크기인 시외버스나 고속버스에는 안전벨트가 있는데 말이에요. 시내버스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는 법으로 규정된 규칙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27조에 시내버스(마을·농어촌버스 포함)에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되어 있어요.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로 달리지 않고, 대부분 정해진 구간을 저속으로 주행하는 데다가, 정거장 사이의 간격이 400m~800m로 멀지 않은 시내버스 특성상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거죠. 또한 이동 중에도 교통 신호의 통제를 받고 있고, 입석 승객이 많아 일일이 안전벨트를 매게 할 수도 없으며, 입석을 없애고 전면 좌석제로 운영하는 것 역시 교통 불편을 불러올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에요.

 

tip110s18010086

오늘은 기차와 시내버스에 왜 안전벨트가 없는지, 꽤 흥미로운 주제에 관해 이야기해봤습니다. 안전벨트가 없다고 해서 기차와 시내버스가 안전한 것은 절대 아니에요. 그렇기 때문에 좌석이든 입석이든 움직이는 버스 안에서는 손잡이를 꼭 잡고, 기차 안에서도 만약 사고가 났을 때 승무원들의 도움을 받아 빨리 대피하길 바랍니다!

덧글 남기기